![](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ekjhY8/btqNSAAKxNM/TgoFlwwtrUe82ZkBl971Ok/img.png)
우리 기업의 NSM은 무엇인가? NSM이란 North Star Metrix의 약자로, 제품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핵심 가치를 잘 포착하는 '단일 측정 항목'입니다. 즉, 정말 중요한 단 하나의 지표가 NSM인 것입니다.(하나 이상일 때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예시를 찾지는 못하였습니다.) NSM = 고객이 프로덕트를 사용하면서 얻게 되는 핵심 가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지표 North Star(북극성)이라는 단어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해당 지표를 통해 기업의 핵심 가치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지표여야 합니다. 그리고 단기적인 성장을 넘어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에도 도움이 되는 지표여야 합니다. 다들 생각하시기엔 매출이 기업의 가장 큰 핵심 지표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출은 후행지표 및 핵..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OjYDo/btqNLQRurOR/H1o53DaceBShdQcbCKkk00/img.png)
실패 처음에 앱 스타트업을 시작할 때를 생각해보면, 아이디어 하나만 가지고 뛰어들었습니다. 우리의 아이디어가 실현된다면, 모두가 좋아할 만한 아이디어였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나 아이디어만 좋으면 성공할 것 같은 꿈들은 서서히 금이가고 철저하게 가루로 남았네요. 검증조차 시도하지 않았던 많은 세부 구현들, 사용자를 생각하지 않은 프로세스 등 여러 칼날들이 우리의 희망을 찢고 철저한 현실을 보여줬어요. 있으면 좋겠다 하는 아이디어였지만 비즈니스적으로 매력 있는 모델은 아니었던 것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포기라는 걸 생각해볼 여유도 없는 상황에서 또 아이디어를 찾기 시작했어요. 이번에도 실패할 수 있다. 하지만 전에 했던 실수를 반복하지는 말았으면 한다고 다짐하고서, 그러기 위해 더 공부하고 경험하고 있습니다. 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m55T1/btqNBeqhX5p/IGwCjK389yecx8hqgoQN9k/img.png)
안녕하세요~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HTTP입니다. 현재 네트워크에 대해 다시 공부하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또한 프론트엔드, 백엔드 개발자들 모두 잘 알고 있어야 할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인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인터넷에서 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또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로써 데이터가 전송 중 파괴되거나 중복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웹에서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TCP/IP 기반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요청과 응답을 전송합니다.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rcu..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qk8co/btqNnvr9496/d6igxed2SppfMFIdfRfeQK/img.png)
목차: 1. 프록시? 2. 프록시의 종류 3. 프록시의 목적 4. 사용 시 유의하실 점 5.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예시 프록시? 네트워크 용어 시리즈로 포스팅하면서 다시 한번 개념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어서 다시 요약 및 정리할 필요성을 느껴 작성하고 있습니다.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컴퓨터 시스템 및 응용프로그램입니다. 즉, 중계기 역할을 합니다. 주로 보안 강화, 트래픽 병목 방지, 캐시 기능을 위해 사용할 때가 많습니다. 특히 웹 프록시 서버로 많이 쓰입니다. 이렇게 캐시로 저장해둘 경우, 동일한 정보를 요청 시 캐시에 저장되어있는 정보를 가져오게 됩니다. 이로써 전송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불필요한 외부 연결을 줄여 네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vOPPe/btqNbuUXban/vibmtdQTjWgk3oV6nPLj70/img.png)
저는 게이트웨이와 라우터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정리하면서 확실히 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게이트웨이를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라우터와 게이트웨이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라우터에 대해 다시 한번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게이트웨이란? 게이트웨이는 이종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문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입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측면에서는 라우터와 다르다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우터는 OSI 3계층 및 4계층을 이용하며 게이트웨이는 OSI 5계층 이상을 이용합니다. 또한 라우터는 하드웨어를 말하기도 하고 게이트웨이는 소프트웨어적인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2Nz0V/btqM5eL1F7f/r0akrWjHD5GJ9gRHLg3GS1/img.png)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클래스 없는 라우팅 기법이며 IP를 좀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네트워크 클래스 방법을 대체하고 1993년에 도입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빠르게 고갈되고 있는 IPv4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Pv4에 대해서 먼저 IPv4에 대해서 까먹으신 분들을 위해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IPv4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IPv4의 주소체계는 총 12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을 기준으로 네 부분으로 나뉩니다. 또한 각 부분은 0~255까지 3자리의 수로 표현됩니다. 또한 IPv4 주소가 고갈되는 상황에서 4배의 비트 수를 가지고 있는 132비트의 IPv6가 등장하였습..